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Spring
- 동기화
- java
- Adapter 패턴
- cloud native
- 자바
- devops
- 헬름
- CRD
- 클라우드 네이티브 자바
- Semaphore
- 클라우드 네이티브
- ingress
- 마이크로서비스
- MSA
- decorator 패턴
- ansible
- 코틀린
- Microservice
- 쿠버네티스
- Algorithm
- kubernetes
- 익명클래스
- nGrinder
- cloud native java
- Stress test
- 머신러닝
- spring microservice
- MySQL
- Kotlin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Domain Specific Language (1)
카샤의 만개시기
코틀린의 DSL (Domain-Specific Language)과 DslMarker
DSL(Domain-Specific Language)은 특정 주제에 특화된 언어를 의미하며,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SQL이 대표적인 DSL이다. 이 밖에도 화면 레이아웃을 단순화한 DSL이나 웹 접근을 단순화한 DSL 등의 많은 프레임워크가 만들어져 있다. 코틀린에서는 고차함수와 람다식의 특징을 이용하여 읽기 좋고 간략한 코드를 만들수 있다. 우리가 목표로 할 DSL 코드는 다음과 같다 data class Person( var name: String? = null, var age: Int? = null, var job: Job? = null) data class Job( var category: String? = null, var position: String? = null, var extensi..
Kotlin
2019. 12. 8. 05:05